게시판

임상 수련과 병행하는 연구방법 교육 및 연구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자주묻는질문(FAQ)

1. 지원 가능한 대학원 학과 전공 관련

Q
제목 :의학과 내과학 전공 및 외과학 전공 같은 임상의학 전공자도 지원이 가능한가?

복지부의 사업 계획서에 지원 가능대상자로 "임상 이외 분야의 대학원 학과" 라 고 제한하는 문구가 있어, 임상학 전공자들은 지원이 불가함. 예를 들면, 의학과 내과학 전공 및 외과학 전공자들은 지원이 불가함.
단, 현재 임상과 대학원에 재학중인 전공의 중에서 앞으로 융합전공(혁신의과학전공)을 지원하여 기초 분야 지도교수와 임상분야 지도교수의 공동지도를 희망하는 자(사업 개시일 기준 신청 완료)도 신청 가능할 예정

Q
제목 :임상의과학과 전공자도 지원이 가능한가?

복지부의 규정 상, 특수 목적으로 개설된 계약학과의 전공은 지원이 불가함.

Q
제목 :병리과 및 예방의학 전공의도 지원이 가능한가?

병리과 및 예방의학 전공의도 지원이 가능하지만, 대학원 전공이 본인 전공의 소속 전공과 같은 병리학 전공 또는 예방의학 전공인 경우에는 지원이 불가함. 예를 들면, 병리과 전공의의 대학원 소속이 병리학 전공인 경우에는 지원 불가함.

2. 지원 가능한 대상자 관련

Q
제목 :임상약리학과 전공의도 지원이 가능한가?

"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전공의 정의에 준하는 자만 지원이 가능하므로, 임상약리학과 전공의는 지원이 불가함.

Q
제목 :타 병원(백병원, 보라매병원 등)의 전공의도 지원이 가능한가?

기본적으로는 병원의 매칭펀드 확약서가 제출되어 있는 컨소시엄 내 병원(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충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소속의 전공의들이 지원 가능하지만, 복지부의 사업 취지 상, 타 병원 소속의 전공의인 경우에도 소속병원의 매칭펀드 확약서(1천만원/1년, 장학금)를 제출할 경우에는 지원이 가능함.

3. 대상자 선정 시 필수 요건 관련

Q
제목 :대상자 선정 시 우선 고려되는 사항이 있는가?

본 전공의 연구지원 사업은 전공의들에게 연구경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전일제 연구로의 유입을 장려하기 위한 사업으로 전공의 사업 수혜자들이 사업 수혜 이후 기초 연구로 유입되었는지 여부로 기관의 평가를 받게 됨. 따라서, 대상자 선정 시, 전일제 연구에 대한 의지를 가진 지원자를 우선 선발함.

4. 기초 지도교수 선택 관련

Q
제목 :기초 지도교수를 반드시 지정해야 하는가?

본 사업의 대상자는 반드시 기초 지도교수 1인의 지도를 받아야 하며, 임상교수와 공동지도교수를 선택할 수도 있음.

Q
제목 :기초 지도교수 지정을 계획서 제출 시 해야 하나?

지정없이도 지원 가능함

Q
제목 :지정된 기초 지도교수가 없을 때 기초 교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

본 사업을 위하여 전공의 연구지도를 허락해주신 기초 지도교수 리스트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지원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기초 지도교수 연결을 해주고 있음. 차후, Office hour 제도 등을 마련하여 기초교수 탐색을 위한 지원을 할 예정임.

5. 전공의 사업 수혜 이후 진로

Q
제목 :전공의 사업 수혜 이후 전임의를 해도 되는가?

가능함. 단, 본 사업의 취지를 고려하여, 전임의 이후라도 전일제 연구기간(연구 전임의 등) 을 권장하며, 이 또한 의무사항은 아님.

Q
제목 :본 사업 수혜 이후, 의사과학자로의 진로는 어떤 경우들이 있는가?

의과대학 기초교수, 연구중심병원의 교수, 국공립 연구소 및 제약회사 연구소, 정부기관 벤처 사업 등의 다양한 진로가 있음.

6. 의무사항

Q
제목 :본 사업을 수행할 때 꼭 해야하는 의무사항이 있는가?

1) 학술대회 발표 1건(대학원 학위 연구주제와 관련 있을 것)
2) 중간 보고서 제출(연2회, 사업단 지정일까지 제출, 미제출시 과제 중단 가능)
3) 종료 시 Career Development Plan 제출(의사과학자의 교육수료/학위취득/취업 등 진로계획서 작성)
4) 월례세미나 연5회이상, 워크샾 연2회 이상 참석
; 의무사항 불이행 학생의 지도교수는 다음 학기 학생선발에 불이익 제공

7. 전공의 사업 이후, 연계 사업인 전일제 연구지원 사업 관련

Q
제목 :전일제 연구지원 사업은 언제 시작되며, 사업 공고는 언제 나오는가?

사업은 2020년 5~6월경 개시될 예정이며, 사업 공고는 2020년 5월중에 나올 예정임(연기 가능성 있음)

Q
제목 :전일제 사업의 개요(변동 가능)

1) 지원 대상: 기초 분야 연구를 희망하는 의사면허 소지자로 박사학위 과정중인 자
2) 지원 규모: 정부출연금 5천만원(연구비) + 기관부담금 5천만원(인건비 및 등록금)으로 총 1억원/1년
3) 지원 기간: 1~4년까지 지원 가능

Q
제목 :전일제 사업과 전문연구요원 병행이 가능한가?

전일제 사업과 전문연구요원 병행이 가능하며, 만약 전공의 4년차(내과의 경우에는 3년차) 11월경에 군전문연구요원 희망서를 제출(박사과정)하고, 박사수료 전에 전문연구요원 선발시험에 합격한다면, 전공의 4년 + 전일제 4년(박사수료 1년, 박사수료 후 군복무 3년)의 과정으로 병행이 가능함

Q
제목 :전일제 사업과 전임의 병행이 가능한가?

전일제로 기초 연구만 수행해야 하므로 전임의와 병행 불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