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운영
임상 수련과 병행하는 연구방법 교육 및 연구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선발안
1. 지원자격 및 지원내용 : 컨소시엄 소개 > 사업개요 참고
2. 심사위원단 구성 : 운영위원
3. 심사방법 및 일정
- 연 2회 (3월, 9월) 및 여석 발생시 추가선발 가능 (6월, 12월)
- 1차 서류심사: 항목당 최소14점 이상으로 배점할 것
- 2차 면접심사: 서류점수 감안하여 Pass (2점) or Fail (0점)만 결정함 (△는 1점)
4. 심사 기준: 전일제 연구희망자 우선 선발
- 연구 분야 적합성 (25점)
- 융합형 의사과학자 목적에 부합하는 기초과학과 임상의학이 융합된 분야에 적합한지 여부
- 개인 연구역량 (25점)
- 연구 참여 계획의 현실성 (25점)
- 실제로 전공의 수련 과정에서, 연구 참여와 연구 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현실적 계획 평가
- 연구 참여 동기수준 (25점)
- 융합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동기수준. 향후 전일제 연구수련 전환 가능성
평가 및 관리 방안
1. 사업 참여 전공의 의무사항
- 학술대회 발표 연 1회; 융합형 연구주제와 관련있어야 함.
(연 1회 개최되는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전공의 학술대회에서의 발표로 가능) - 중간평가 연 2회 (매년 8월말, 차년도 2월말); 심사위원단의 서류심사
- 전공의 연구보고서 제출
- 전공의 중간평가_지도교수 의견서 제출
- 지도학생이 융합형 의사과학자 목적에 부합하는 기초과학과 임상의학이 융합된 분야로 적합하게 수행중인지 여부
- 개인 연구역량 발전 상황 모니터링 (연구 노트, 연구기록, 문헌 고찰 기록 등에 대한 지도교수 의견 기술)
- 평가 결과
- 연구보고서 미제출시 과제 중단 가능
- 연구 불성실 수행에 대해 심사위원 1인 Fail 인 경우 경고 공지,
2인 이상 Fail 인 경우 보완제출 후 운영위 재심사를 통해 연구 보완사항에 대한 조언(멘토링) 형태로 진행
- 종료시 Career Development Plan 제출
- 연구성과 발표평가 (100점); 학술대회, 중간보고, 월례세미나 발표 경험 포괄적 평가
- 향후 커리어플래닝 포함한 진로계획서 제출 (100점); 의사과학자 개인의 교육수료/학위취득/취업 등의 계획을 기술
- 학위 변경시 운영위에서 참여 지속 가능 여부 검토
- 윤리 규정: 병원 및 대학의 징계위원회에서 문제가 되는 수준의 징계가 있는 경우에는 따로 과제 내 윤리위원회 구성없이,
병원 및 대학의 징계위원회의 판단을 따라, 해당 전공의는 중도 탈락시킬 수 있음.
2. 사업 모니터링
- 피교육자의 성실한 교육 참여 여부 모니터링
- 교육 프로그램 이수 현황: 성실한 수강 여부, 과제 제출 여부, 시험 성적
- 연구 세미나 참여 현황: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세미나 참석 여부
- 연구실 연구회의, 세미나 참여 현황: 수련 연구실 연구회의, 세미나 참석 여부
- 피교육자의 연구 경험 및 연구역량의 누적된 발전 상황 모니터링
- 연구 경험 발표회: 중간보고, 학술대회 포함 연 2회 발표
- 피교육자의 연구 계획서 평가
- 전공의 연구지원 계획서: 매년 말 차년도 전공의 연구지원 계획서 평가
- 융합형 의사과학자 [전일제 박사학위과정 지원] 계획서: 전일제 박사학위과정에 수행할 연구 계획서 평가
- 전일제에 대한 계획 포함